김현주 기자
[전남=한국의정신문 김현주 기자]
전남 농어촌 지역에서 식품 사막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주민들의 건강권과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식품 사막화 현상이란 사막에서 물을 찾기 어렵듯이 지역에서 신선하고 건강한 식료품과 일용품을 구매하기 어려운 현상을 뜻한다.
지난 12월 5일 전남도의회 제386회 제2차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류기준 의원(더불어민주당·화순2)은 “식품 사막화 해결을 위해 전남도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의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3만7천여 개 행정리 중 약 73.5%인 2만5천여 곳에는 소매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의 소매점 미보유 지역 비율은 83.3%로, 전북(83.6%)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농촌 주민들이 신선한 식료품을 구하기 어려운 ‘식품 사막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농촌 주민들의 영양 섭취 부족 비율이 도시민보다 높아 영양 불균형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류기준 의원은 “식품 사막화는 단기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문제”라며, “농촌의 식품 사막화를 막기 위해 전남도의 ‘오아시스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정책적 접근과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해 문제 해결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식품 사막화는 단순히 상점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주민들의 건강권과 먹거리 기본권이 위협받는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류 의원은 지역 주민들이 신선하고 건강한 식료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남도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남도와 지역사회가 힘을 모아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식품 사막화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류 의원의 발언이 농촌 지역 주민들의 먹거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논의의 촉매제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